본문으로 바로가기메인메뉴 바로가기
행복한 웃음을 찾아주는 교육의 장

운영규정

안양동초등학교운영위원회 규정

제1장 총칙

제1조【목적】
본 규정은 ⌜초·중등교육법⌟ 및 ⌜초·중등교육법 시행령⌟, ⌜유아교육법⌟에 의거 안양동초등학교 운영위원회의 구성·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.
제2조【명칭 및 설치】
본 회는 안양동초등학교운영위원회(이하“운영위원회”라 한다)라 하고 병설유치원과 통합하여 운영하며 안양동초등학교에 설치한다.

제2장 위원의 구성 및 선출

제3조【위원의 구성】
①본교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은「유아교육법」제19조의3제4항에 따라 유치원 교원위원 1명과 학부모 위원 1명을 각각 가산하여, 13명으로 하되, 학부모위원 6명, 학교장을 포함한 교원위원 5명, 지역위원 2명으로 구성한다.
제4조【위원의 겸임】
위원은 다른 학교의 위원을 겸임할 수 없다.
제5조【선출관리위원회】
  • ①학부모위원과 교원위원의 선출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 선출관리위원회를 구성한다.
  • ②선출관리위원회는 위원선출공고, 선거인 명부작성, 위원의 후보자 등록, 선거공보, 투·개표, 당선자 공고 등의 선거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며 구성시부터 위원선출이 종료될 때까지 운영된다.
  • ③학부모선출관리위원회는 학부모회의 추천을 받아 학교운영위원으로 입후보하지 않는 학부모 3인 이내로 학교장이 위촉하여 구성하되, 위원장은 호선한다.
  • ④교원선출관리위원회는 교직원전체회의에서 학교운영위원으로 입후보하지 않는 교원 3명을 직접 선출하여 구성하되, 위원장은 호선한다.
  • ⑤선출관리위원회 위원은 학교운영위원이 될 수 없다.
제6조【위원의 선출】
  • ①학부모위원은 학부모 전체회의에서 직접 선출하되, 학부모 전체회의에 참석할 수 없는 학부모는 학부모 전체회의 개최 전까지 가정통신문에 대한 회신, 우편투표, 전자적 방법(「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」제2조제2호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을 사용하거나 그 밖에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)에 의한 투표 등으로 후보자에게 투표하게 할 수 있다.
  • ②당연직 교원위원을 제외한 교원위원 및 유치원 교원위원은 교직원 전체회의에서 직접 투표로 선출한다.
  • ③지역위원은 학부모 위원 및 교원위원의 추천을 받아 학부모 위원, 교원위원이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며, 추천인원이 정수이내인 경우 무투표 당선한다.
  • ④유치원 학부모위원 및 유치원 교원위원은 지역위원의 추천 및 선거권을 갖는다.
  • ⑤개표결과 위원정수에 해당하는 다수 득표자를 당선자로 결정하되 득표수가 같은 경우에는 연장자를 당선자로 결정한다.
  • ⑥입후보자 등록마감 결과 입후보자가 위원정수 이하일 경우에는 기 입후보한자에 대해서는 무투표 당선으로 하고 부족한 인원에 대해서는 재 선출 공고를 한다.
  • ⑦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회의를 소집․진행하며, 부위원장은 위원장 유고시 직무를 대행한다.
  • ⑧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며, 2차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.(최대 3년)
  • ⑨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임기는 일반위원의 임기와 동일하다.(최대 3년)
제7조【위원의 선출시기】
학부모위원 및 교원위원은 임기만료일 10일 이전에, 지역위원은 임기만료일 전일까지 선출한다.
제8조【보궐선거】
  • ①위원이 임기중에 결원될 때에는 보궐선출을 실시한다. 다만, 잔여임기가 6개월 미만으로서 위원 정수의 4분의 1이상 결원되지 아니한 때에는 운영위원회 결정으로 보궐선출을 하지 않을 수 있다.
  • ②보궐선출 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남은기간으로 한다.

제3장 회의운영 등

제9조【서류제출 요구】
  • ①⌜경기도립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·운영 조례⌟ 제10조의 규정에 의하여 운영위원회가 안건의 심의와 관련된 서류의 제출을 학교장에게 요구하는 때에는 이를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.
  • ②서류제출을 요구받은 학교장은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외에는 10일 이내에 관련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.
  • ③제1항에 따른 서류제출 요구는 제출서류, 제출요청사유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하며, 안건의 심의와 직접 관련이 없는 경우에는 서류제출 요청을 할 수 없다.
제10조【회의 등】
  • ①회의는 정기회와 임시회로 구분하여 운영하며, 정기회는 다음연도 2월에 연 1회 실시한다.
  • ②회기는 회의 당일 운영위원회에서 정한다.
제11조【회의방청】
  • ①운영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자 할 때에는 가정통신문이나 학교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회의 개최일자, 안건 등을 알림으로써 학부모, 교사, 학생 등이 회의를 방청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.
  • ②위원장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회의 참관인 수를 제한할 수 있다.
제11조의2【건의사항 처리】
  • ①「경기도립 학교운영위원회 설치․운영 조례」제9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의서를 접수한 때에는 학교장과 협의 후 안건으로 발의할 수 있다.
  • ②건의사항을 소개한 위원은 운영위원회 심의시 건의 사항의 취지를 설명하여야 한다.
  • ③심의결과 채택된 사항은 학교운영위원회 의견을 첨부하여 학교장에게 이송한다.
  • ④학교장은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채택된 사항의 수용여부를 결정 후 처리 결과를 운영위원회에 보고한다.
  • ⑤위원장은 건의사항의 처리 결과를 건의한 사람에게 통지하여야 한다.
제12조【학생대표를 통한 안건제안】
  • ①⌜경기도립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·운영 조례⌟ 제15조의2제5항 규정에 의하여 학생대표가 학생생활과 관련된 사안에 대하여 운영위원회에 안건을 제안하고자 하는 때에는 제안학생의 서명날인을 받은 후 제안하고자 하는 제안사유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한 안건제안서를 제출하여야 한다.
  • ②제1항의 학생안건제안서를 제출할 때에는 학생의견수렴 또는 학생설문조사 결과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.
  • ③제1항의 학생안건제안서에 대해서는 학교장이 소관부서의 검토의견서를 첨부하여 운영위원회에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.
  • ④운영위원회는 학생안건제안서 학생의 수용여부를 검토한 후 이를 수용하기로 한 때에는 이를 심의에 반영하도록 한다.
제13조【질서유지】
①위원장은 회의운영에 방청인의 방해가 있을 경우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퇴장을 명할 수 있다.
제14조【공청회】
  • ①운영위원회는 중요한 안건 또는 전문 지식을 요하는 안건을 자문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결로써 공청회를 개최할 수 있으며 그 안건과 관련된 이해관계인·학부모·지역주민 또는 학식 경험이 있는 자(이하 “진술인”이라 한다.)등으로 부터 의견을 들을 수 있다.
  • ②공청회에 관한 의안에는 안건·일시·장소·진술인 기타 참고사항을 기재하여야 하며 위원장은 공청회의 개최에 대하여 미리 학교장과 협의하여야 한다.
  • ③진술인의 선정과 발언 시간은 운영위원회에서 정하며 진술인은 그 안건의 범위 안에서 발언하여야 한다.
제15조【운영 경비】
위원연수시의 교통비, 회의경비 등 운영위원회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학교회계에 편성할 수 있으며 교육청의 예산관련 지침을 준용한다.
제16조【회의운영 규칙】
이 규정에 정한 것 외에 운영위원회의 회의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회의운영규칙으로 정한다.

부 칙

제1조(시행일) 이 규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.
제2조(개정일) 2024년 4월 11일